![]() |
2014년 철강재 출하구조 분석 (2015.7월) | ![]() |
2015-08-03 |
---|---|---|---|
![]() |
2014년_철강재_출하구조_분석.pdf | ![]() |
181930 |
2014년 철강재 출하 실적은 내수 침체 불구, 수출확대 노력으로 전년비 보합인 79,268천톤을 기록하였다.
수출은 해외법인向 소재공급 확대 및 미국 에너지산업 호조세로 인한 강관 수출 증가로 전년비 10.5% 증가한 28,236천톤을 기록하였다.
비중을 보면 2013년도 국내출하 대 수출은 67.8 : 32.2 이었으나 2014년에는 64.4 : 35.6로 수출 비중이 확대되었다.
유통용은 16,099천톤(1.2%↑)으로 31.5%(1.9%p↑), 차공정용은 9,688천톤(23.8%↓)으로 19.0%(4.7%p↓)의 비중을 기록하여
차공정용 비중은 축소된 가운데 유통, 실수요가 비중은 확대되었다.
특히, 3위를 기록한 조선은 수주량 감소에도 건조량 증가에 힘입어 2.6%p 상승한 21.2%로 20%대에 재진입하였다.
건설착공 면적증가로 철근의 건설向 출하는 증가했으나, 봉강 유통물량 감소로 내수출하가 부진하였다.
일반기계 8.7% 순으로 나타났다.
수출은 해외법인向 열연강판 등 소재공급 확대 노력으로 증가세를 나타내어 21,666천톤(9.1%↑)을 기록하였다.
건설은 기타 제조업向 물량 감소로 4위에서 3위로 순위가 상승했다.
ASEAN向 수출에 힘입어 3,139천톤(29.3%↑)을 기록하였다.
국내출하와 비슷한 수준으로 올라왔다.
자료출처: 한국철강협회 조사통계보고서
|
|||
![]() |
철강수입동향 (2015.6월) | ||
![]() |
주간철강동향 (2015. 07-28) |